본문 바로가기

원자력 로봇 시장, `19년 11억 달러 규모 전망 *스리마일 원자력 발전소 원자력 사고 대응 로봇 시장의 규모가 2012년 말 5,500만 달러(약 596억 원)를 기록했으며, 다가오는 2019년에는 11억 달러(약 1조 2천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간 미흡했던 로봇기술이 이동성, 크기, 센서 및 제어 기술의 발달과 함께 원전 적용에 적합하도록 진화되었기에 가능한 전망이다. 이에 본지에서는 발전하는 새로운 로봇 시장, 원자력 로봇 현황을 살펴본다. 원자력 사고 대응 로봇 시장 규모가 2019년 11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원자력 로봇 시장의 성장을 이끄는 주요 요인은 세계적으로 방사성 물질을 취급하는 원전 설비에 자동화된 공정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금까지는 로봇 기술이 원자력 발전소의 핵물.. 더보기
2013 한국기계전(Korea Machinery Fair 2013) 성황리 개최 규모를 가진 전시회에는 다수의 기업들이 온갖 제품들을 선보이며 각축전을 벌인다. 그래서 큰 전시회는 재미있다. 시장의 흐름이, 산업계의 트렌드가 한 눈에 들어오는 장이기 때문이다. 이번 한국기계전 역시 마찬가지이다. 세세한 신제품은 셀 수도 없을 만큼 선보여 졌다. 그래서 오히려 산업계의 거대담론이 더욱 선명하게 눈에 들어왔다. 이에 본지에서는 현재 로봇과 관련된 산업계의 단면을 참가업체들을 통해 살펴봤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기계산업진흥회가 주관하는 ‘2013 한국기계전’이 지난 10월 16일부터 19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펼쳐졌다.2013 한국산업대전의 일환으로 펼쳐지는 본 전시회는 킨텍스 제1, 2전시장에 걸쳐 두루 부스를 배정함으로써 연관 산업전시와의 시너지를 극대화했다. 한국산업.. 더보기
철저한 오더 메이드로 고객만족 실현하는 ‘코리아테크노(주)’ 코리아테크노(주) 이덕호 과장 Q. 코리아테크노(주)의 노하우를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로봇 시스템은.A. 웨이퍼 핸들러(Sorter) 제품군과 EFEM, 이 두 가지 시스템을 대표적으로 말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Sorter 시스템의 경우, 국내 대기업과 수년 간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단순한 로봇 제어를 넘어 고객사 자동화 시스템에 맞춘 제어 기능 구현을 중요한 요소로 삼고 있다. Q. 반도체 로봇 시스템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요소는.A. 로봇 시스템 구성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첫 번째 요소는 해당 로봇과 주변 모듈과의 호환성, 그리고 로봇의 퍼포먼스 등이 있고, 이와 더불어 로봇 안전성 확보 및 제어 상의 어려움이 없어야 된다. 이 밖에도 사후처리 및 가격적인 부분도 고려해야 될 요소이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