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리포트

When Robot met National Culture

When Robot met National Culture
로봇, 그 자체로 하나의 문화가 되는 시대

FO.jpg

문화와 로봇의 융합은 비가시적인 형태로 나타난다. 이를테면, 대중의 뇌리에 ‘로봇’을 각인시키는 것은 사실 하나의 로봇제품이 아닌 ‘유행’이라 불리는 거대한 문화의 흐름이라 할 수 있다. ‘아톰’이나 ‘로보트 태권브이’ 등은 단순히 애니메이션의 범주를 넘어 당대를 풍미했던 문화 그 자체라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로봇과 문화의 융합을 통해 로봇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매김한 경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로봇과 융합된 문화가 지닌 파급력은 상당히 크다.
그중에서도 영화는 로봇과 문화의 대표적인 융합 사례라 할 수 있다. SF의 범주에 속해왔던 로봇 영화는 이제 로봇 영화 자체로 하나의 장르가 되었으며, 로봇기술, 영화제작기술의 발전과 함께 더욱 그럴듯한 모습으로 로봇을 하나의 트렌드로 만들어내고 있다. 이제 대중은 영상 매체를 통해 과거보다 하이퍼 리얼한 로봇을 만나게 된다. 아이언맨을 보며 웨어러블 로봇을 떠올리고, 리얼스틸을 감상하며 동작모방 로봇을 생각한다.
최근에는 로봇과 문화의 융합을 통환 로봇 문화 확산은 로봇 메이커들의 마케팅 부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단적인 예로 최근 개봉한 ‘퍼시픽 림(Pacific Rim, 2013)’에서는 로봇을 제조하는 ABB의 다관절 로봇이 등장하는가 하면, 과거 국내 유명 드라마 ‘아이리스’에서도 KUKA 로봇이 모습을 드러낸 바 있다.
한편 영화와 로봇의 융합을 조명할 수 있는 행사가 얼마 전 국내에서 개최됐다.
지난 7월, 2013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기간 중 펼쳐진 로봇영화특별전&융합포럼은 150여 명의 참관객들이 몰리며 성황을 이뤘다.
포럼을 기획한 카이스트 지은숙 교수는 “로봇은 상상력과 기술의 만남”이라며 “영화적 상상력이 로봇 발전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다는 점에서 영화와 로봇분야를 함께 다뤄보자는 의도로 이번 로봇포럼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서는 인문학, 공학, 예술, 심리학을 아우르는 전문가들이 ‘인간과 로봇의 경계에서’라는 화두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이날 행사에서는 적극적인 참여자들의 질의응답에서 그들이 그간 이러한 자리를 목말라 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해갈해줬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When Robot met National Culture